
[ AWS란? ]
컴퓨터라는 제품(자원)을 클라우드에 올려놓고, 온디맨드(주문형) 방식으로 제공받는 것
온디맨드란?
주문형 서비스라고 함. 고객이 필요한 순간, 필요한 만큼만 주문해서 제공해주는 것 .
→ 내가 컴퓨터 리소스를 들고 있지 않구나, 누군가에게 빌려 쓰고 있구나.
[ 온디맨드의 종류 ]
1. IaaS
가장 기본적인 클라우드 서비스 모델. 이 서비스를 위한 물리적인 환경(Infrastructure) 쉽게 말하면 아무런 소프트웨어나 OS도 설치되어 있지 않은 빈 컴퓨터(껍데기)를 IaaS라고 한다 *'컴퓨터, 랜선, 하드디스크, 램, CPU' 같은 물리적인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바로 이걸 임대하는 걸 IaaS라고 함.
2. PaaS
IaaS를 한 단계 더 발전시킨 서비스. 개발자가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고 실행할 수 있는 플랫폼과 환경을 제공한다. 자바를 통해서 우리가 어떤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자바를 서비스하려면 JRE(개발이 다 되면 필요한 것. 사용자가 쓰는 것) 가 있어야함 이 JRE를 설치하려면 반드시 OS가 필요. 즉, PaaS라는 건, 소프트웨어를 구동하기 위한 서비스를 제공해주는 것 톰캣도 설치되어있고, 이런 것.
내가 자바로 서비스를 할건데, IaaS를 빌리면 내가 설치해야할게 많은 대신
뭐든 설치할 수 있어서 자유도는 높음. PaaS는 반대
3. SaaS
소프트웨어를 제공해주는 것. 원격으로 소프트웨어에 접근해서 쓸 수 있는 걸 SaaS라고 함 즉, 애플리케이션이 들어있는 것. (쌤이 이야기했던 계층의 그 APP)
[ AWS 탄생 배경 ]
사업 다각화로 인해 이용자가 늘어나기 시작하면서 블랙 프라이데이같이 일시적으로 서버 트래픽이 증가하는 시기가 있다. 그때 컴퓨터를 20대까지 늘리지 않으면 서비스가 불가하다.

근데 컴퓨터 20대를 늘리면(인프라를 늘리면)... 할인 기간이 아닐 때에는 쓸모 없고, 평소에는 사용하지도 않을 서버가 되어버림! (골칫덩이) -> 이렇게 최초의 클라우드 서비스가 시작 대여해주는 이 컴퓨터는 한대 한대가 슈퍼컴퓨터 급이라, 고객과 1:1로 매핑시켜서 주진 않는다. 가상화를 이용해 컴퓨터 한대에 OS를 여러대 띄워서, 사용자 몇백명이 동시에 한 컴퓨터를 나눠서 쓰는 것. (대표 : VMware)(지금은 도커로 함) 컴퓨터 한대를 쪼개서! 가상화 기술을 통해서 쪼개서! 한대를 여러대처럼 속여서 같이 사용하는 것!
가상화란?
하나의 컴퓨터를 마치 여러 대의 컴퓨터처럼 사용할 수 있게 만드는 것.
가상화 기술을 이용하면 하나의 컴퓨터가 여러 사용자에 의해 동시에 여러 가지 용도로 사용될 수 있게 된다.

즉, 가상화란 os가 들고있는 HW자원을 나눠쓰는 것! 이 os마다 어플리케이션을 들고있는데, 이 os가 사용할 수 있는 하드웨어의 인프라 자원이 전체가 아니라 한정적. 도커는 이거보다 더 고도화 되어있음 (근데 도커를 배울 것은 아님)
Share article